카테고리 없음

일본뇌염 예방접종에 관해 알아보기

으이차 2023. 7. 11. 12:15
반응형

2023.07.11 - [분류 전체보기] - 일본뇌염이란? 예방법과 증상

 

일본뇌염이란? 예방법과 증상

일본뇌염(Japanese Encephalitis)에 대해 알아보고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본뇌염은 중대한 전염병으로, 주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합니다. 이 글을 통해 일본뇌

healthy.informyun.com

 

Q. 일본뇌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예방을 위해 모기를 박멸하고,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며, 돼지우리를 청결히 관리해야 합니다. 또한 예방접종은 3∼15세 소아에게 매년 4월부터 시작하여 6월 말까지 끝내는 것이 좋습니다.

 

Q. 일본뇌염은 언제 유행하나요?

A. 일본뇌염은 모기의 활동이 많은 여름철과 초가을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계절적인 감염병으로, 일반적으로 7월 중순부터 시작하여 8월과 9월까지 많이 발생하며, 10월부터는 점차 감소합니다.

 

Q. 일본뇌염은 누가 주로 걸리나요?

A. 예전에는 3∼5세 어린이들에게 많이 발생하였지만, 예방접종 실시 이후에는 급격히 감소하였습니다. 그러나 일본뇌염모기에 물리면 노약자나 청장년층도 발병할 수 있습니다.

 

Q. 일본뇌염에 걸리면 다른 아이에게 전염시킬 수 있나요?

A. 그렇지 않습니다. 일본뇌염은 사람 간 전파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병에 걸린 사람과의 접촉으로 병을 전파하지 않으므로 일본뇌염 환자를 격리할 필요는 없습니다.

 

Q. 일본뇌염은 예방접종 백신을 한 번 맞으면 예방이 되나요?

A. 그렇지 않습니다. 일본뇌염 예방접종은 3세에 2회, 4세에 1회 접종하는 것이 기초접종이며, 이후 15세까지 2년 간격으로 추가 접종해야 합니다.

 

Q. 예방접종은 어떻게 받아야 하나요?

A. 일본뇌염 예방접종은 사백신과 생백신으로 나뉘며, WHO와 질병관리본부는 사백신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사백신을 기준으로 한 예방접종 시기입니다.

- 기초접종(2회): 생후 12∼24개월 중 4주 간격으로 2회

- 추가접종(3회): 기초접종 후 11개월 후, 만6세와 12세에 각각 1회

※ 기초접종이 지연된 경우: 남은 횟수만 접종하고 처음부터 다시 접종하지 않음

※ 4세 이후 3차 접종을 하는 경우: 12세에 1회만 추가접종

※ 10세 이후 3차 또는 4차 접종을 하는 경우: 더 이상 추가접종하지 않음

※ 11세 이후 처음 접종하는 경우: 나이에 관계없이 기초 3회만 접종

 

Q. 일본뇌염의 예방접종 금기사항이나 주의사항은 어떤 것이 있나요?

A. 약독화 생백신은 다른 생백신 접종 시 주의사항이나 접종금기와 동일하며, 사백신인 경우에도 질환이나 알레르기 반응 시 세심한 주의와 충분한 진찰 상담 후 접종합니다.

 

아래는 주의사항 및 접종 금기사항의 몇 가지 예시입니다

- 백신 성분에 중증의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경우

- 중증 심혈관계, 신장, 간장 질환

[단, 급성기 증상이 회복된 경우나 경증의 질환(가벼운 설사, 경증의 상기도 감염증 등)이 동반된 경우에는 접종 가능]

- 스테로이드 복용

피부용 스테로이드를 2주 이상 사용한 경우 생백신 접종 금기 대상이지만, 흡입용 스테로이드 사용 시에는 접종 가능

- 면역글로불린 투여나 혈액제제 투여

MMR에 준해서 접종을 미루며, 생백신 투여 후 3주 동안 면역글로불린을 투여 중단

- 임신

 


참고

https://nip.kdca.go.kr/irhp/infm/goVcntInfo.do?menuLv=1&menuCd=1210 

https://www.seocho.go.kr/site/sh/07/10702020700002015072310.jsp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