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해 감염병 예방 가이드
여름철은 태풍 및 장마로 인해 하천 범람과 침수가 발생하는 시기입니다. 이에 따라 환경 변화와 위생환경의 취약성이 증가하며, 병원균, 모기, 파리, 쥐 등의 감염 매개체를 통해 감염병이 유행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풍수해 감염병에 대한 예방법과 주요 발생 감염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풍수해 감염병이란?
풍수해 감염병은 태풍이나 장마로 인해 발생하는 하천의 범람 및 침수로 인해 서식처의 환경이 변화하고 위생상태가 악화되면서 발생하는 감염병을 말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병원균, 모기, 파리, 쥐 등이 감염 매개체로 작용하여 다양한 감염병이 유행할 수 있습니다.
주요 발생 감염병
1. 수인성·식품 매개 감염병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콜레라,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 A형 간염 등이 포함됩니다.
2. 모기매개 감염병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말라리아, 일본뇌염 등이 포함됩니다.
3. 접촉성 피부염, 파상풍
수해 복구 작업 시 피부 노출로 인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침수지역에서 작업 시 적절한 보호복 착용과 상처 관리가 필요합니다.
4. 렙토스피라증
병원성 렙토스피라균에 감염된 동물의 소변 등을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수해 복구 작업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5. 안과 감염병
유행성 눈병 등 눈에 관련된 감염병으로, 적절한 개인 위생 관리와 전문 의료기관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감염병 예방을 위한 방법
1. 수인성·식품 매개 감염병 예방
-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을 씻습니다.
- 냉장이 유지되지 않은 음식은 4시간 이상 섭취하지 않습니다.
- 끓인 물이나 생수를 마시고 사용합니다.
- 음식은 위생적으로 조리하고 충분히 익힌 후 섭취합니다.
-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이 있거나 손에 상처가 있는 경우 음식 조리를 피합니다.
2. 모기매개 감염병 예방:
- 모기 활동 시간(주로 일몰 후부터 일출 전)에 야외 활동을 자제합니다.
- 밝은 색 긴 팔과 긴 바지를 착용합니다.
- 모기 기피제와 내부용 살충제를 사용합니다.
- 방충망을 정비하고 모기장을 사용합니다.
- 말라리아 발생 지역에 거주(방문)한 후 2년 이내에 발열, 오한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합니다.
3. 접촉성 피부염, 파상풍 예방
- 침수지역에서 작업 시 보호복, 장화, 고무장갑을 착용합니다.
- 물에 노출된 피부를 깨끗한 물로 씻어냅니다.
- 작업 중 오염된 상처가 생기거나 작업 후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인근 병원에서 진료를 받으며 필요한 경우 파상풍 예방접종을 합니다.
4. 렙토스피라증 예방
- 침수지역에서 작업 시 방수 처리가 된 보호복, 장화, 고무장갑을 착용합니다.
- 물에 노출된 피부를 깨끗한 물로 씻어냅니다.
- 수해 복구 작업 후 발열이 발생하는 경우 신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습니다.
5. 안과 감염병 예방
-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을 씻습니다.
- 개인의 수건, 베개, 안약 등을 공유하지 않습니다.
- 눈에 부종, 출혈, 이물감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손으로 비비거나 만지지 말고 반드시 전문 의료기관을 찾아 진료를 받습니다.
- 환자가 많이 모이는 장소를 피합니다.
여름철에는 풍수해로 인한 감염병 예방이 중요합니다.
적절한 위생 수칙과 예방 조치를 통해 손 씻기, 안전한 물 섭취, 모기 퇴치 등을 실천하세요.
건강한 여름을 보내기 위해 주의하고 예방하세요.